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과민성 장증후군의 유형 증상 치료

by 비단향꽃무63 2023. 3. 16.

과민성 장증후군은 특별한 질환 없이 만성적으로 대장 기능에 이상 징후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10%가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과민성 장증후군에 대해 외과의사가 쓴 이 책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책표지
저자:양형규

 

과민성 장증후군 유형

변비형(대개 복통 동반)

설사형

변비·설사 교체형

점액형

 가스형

 

대표적인 증상

계속해서 설사가 이어지기도 하고 변비가 계속되기도 합니다. 또 설사와 변비가 교대로 반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대개 복통이 함께 동반됩니다.

1. 복통

아랫배가 전체적으로 아픈 사람도 있지만, 보통은 왼쪽 하복부가 집중적으로 아픈 경우가 많으며 오른쪽 하복부 통증도 흔합니다. 식사 직후나 용변을 보기 전에 특히 많이 아프며, 배변을 하고 나면 씻은 듯이 가라앉습니다.

2. 설사

설사가 계속 반복되어 이대로 가면 죽을 것 같은 심정이 들지만, 실제로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사망한 사례는 없습니다. 설사를 해도 체중은 줄어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3. 기타 증상

권태감, 불면증, 어깨 결림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으며, 정서장애(등교 거부, 패닉장애)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이 밖에도 토끼 똥 같은 변이 나오거나, 점액이 배출되기도 하고, 잔변감, 가스로 인한 복부 팽만, 방귀와 잦은 트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

우선 설사와 변비, 복통 증세에 대해 진찰합니다. 그리고 다른 대장질환이 없다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혈액검사, 대장의 잠혈반응 검사, S상 결장경 검사, 대장 내시경, 대장조영술, 유당내성검사 등 많은 검사를 진행합니다.

 

치료

과민성 장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운동과 휴식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도 중요하며, 심할 경우 약물요법을 병행해야 합니다.

 1. 식사요법

고섬유식을 하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채소는 날로 먹어도 좋지만, 국이나 찌개처럼 끓이거나 삶아 먹는 것이 많은 양을 섭취할 수 있어 유리합니다. 장내 가스가 많이 차는 음식물은 되도록 삼갑니다. 탄산가스가 들어 있는 음료, , 고지방 식사, 우유를 삼가고 흡연을 하지 않습니다.

 2. 생활요법

규칙적인 생활, 규칙적인 배변습관(특히 아침 식사 후), 규칙적인 수면을 하도록 합니다.

 3. 운동요법

산책, 스트레칭 등의 적당한 운동과 복식호흡을 합니다.

 4. 심리적인 안정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전신의 긴장을 완전히 해소시켜 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합니다.

 5. 약물요법

복통이 있다면 장관운동을 억제하는 평활근 이완제를 씁니다. 설사를 하면 로페라마이드 등 지사제를 사용하고, 세로토닌계 항우울제 등도 도움이 됩니다.

 

이 책을 통해 치질 및 항문질환에 대해 잘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과민성 장증후군은 주로 20~40대에 잘 나타나며, 60대 이상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10%가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성과 여성을 비교했을 때 대개 1:1.5 정도로 여성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남성은 설사형이 많은 반면 여성은 변비형이 많다고 합니다.

치질 및 항문질환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사진,그림과 함께 자세한 설명으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책에 가득한 반짝이고 빛나는 배움으로 깨달음과 정보를 나누기 위해 나름 요약해 보았습니다. 좋은내용과 상세한 설명으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